취ㆍ창업ㆍ투자ㆍ칼럼ㆍ멘토링/도메인 (이커머스, 핀테크)
[물류시스템] 1PL vs 2PL vs 3PL 이란?
Joonfluence
2025. 5. 20. 11:18
1PL vs 2PL vs 3PL: 주요 차이점
구분 | 1PL (자사 물류) | 2PL (2자 물류) | 3PL (3자 물류) |
---|---|---|---|
정의 | 기업이 모든 물류를 직접 운영 | 운송 또는 창고 등 일부 물류만 외주 | 전체 또는 대부분의 물류 업무를 외부 전문업체에 위탁 |
통제력 | 기업이 전적으로 직접 통제 | 일부 외주, 통제력은 중간 수준 | 대부분 외부업체가 관리, 통제력은 낮음 |
서비스 범위 | 운송, 보관, 배송 등 모두 직접 수행 | 주로 운송 또는 창고 등 한정된 서비스 | 운송, 창고, 재고, 주문처리, 반품 등 통합 관리 |
자산 소유 | 차량, 창고, 인력 모두 자사 소유 | 운송/창고 자산은 외주업체 소유 | 자산 소유 또는 하도급, 통합 솔루션 제공 |
전문성 | 사내 역량에 의존 | 특정 물류 기능에 전문화 | 다양한 물류 노하우 및 IT 시스템 보유 |
유연성 | 낮음, 변화에 대응 어려움 | 중간, 외주업체 역량에 따라 다름 | 높음, 필요에 따라 서비스 확장/축소 가능 |
비용 구조 | 고정비 높음, 대규모에 적합 | 중간, 필요한 서비스만 비용 발생 | 변동비 중심, 대부분 기업에 비용 효율적 |
적합한 기업 | 대규모, 자체 물류 인프라 보유 기업 | 운송/창고만 외주하고 싶은 기업 | 물류 복잡성 해소, 핵심업무 집중 원하는 기업 |
1PL (자사 물류, First-Party Logistics)
- 특징
- 기업이 직접 차량, 창고, 인력 등 모든 물류 과정을 운영합니다.
- 통제력이 높고 데이터 접근이 용이하지만, 초기 투자와 운영비가 큽니다.
- 대형 제조사나 유통사 등 자체 물류 역량이 있는 기업에 적합합니다.
- 예시
- 아모레퍼시픽: 화장품 제조사로, 자체 물류 조직과 시스템을 갖추고 직접 물류를 수행합니다.
- 일부 중소기업: 자체적으로 창고, 차량, 인력을 보유하고 물류를 직접 처리하는 중소 제조·유통업체 다수.
2PL (2자 물류, Second-Party Logistics)
- 특징
- 운송 또는 창고 등 특정 물류 기능만 외부 전문업체에 위탁합니다.
- 외주업체가 자산을 보유하고 운영하며, 서비스 범위는 제한적입니다.
- 비용 절감 및 전문성 확보가 가능하지만, 통합 관리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 예시
- 현대글로비스: 현대자동차 그룹의 자회사로, 그룹 내 물류를 주로 담당하지만 외부 기업 물류도 일부 수행합니다.
- LX판토스: LX그룹(구 LG그룹) 계열사로, 그룹사 및 외부 기업의 물류를 담당합니다.
- CJ대한통운: CJ그룹 계열사로, 그룹 내외의 물류를 수행하며 2PL과 3PL을 모두 수행하는 대표적 기업입니다.
3PL (3자 물류, Third-Party Logistics)
- 특징
- 운송, 창고, 재고, 주문처리, 반품 등 다양한 물류 업무를 통합적으로 외부 전문업체에 위탁합니다.
- 3PL 업체는 IT 시스템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 기업은 핵심업무에 집중할 수 있고, 물류비용과 복잡성을 줄일 수 있습니다.
- 예시
- 화인통상: 인천항 배후단지에 위치한 국내 최대 규모 3PL 기업, 이케아·자라·코스트코 등 글로벌 브랜드의 물류 전반을 위탁 관리합니다.
- CJ대한통운, 한진, 롯데로지스틱스: 국내 대표 3PL 전문업체로, 다양한 기업의 물류 전반을 아웃소싱 받아 종합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글로벌 예시: DHL, FedEx, UPS 등도 3PL 서비스의 대표적 글로벌 기업입니다.
요약
- 1PL: 모든 물류를 직접 운영, 통제력 높음, 비용 및 유연성은 낮음
- 2PL: 일부 물류만 외주, 중간 수준의 통제력과 유연성
- 3PL: 물류 전반을 외주, 유연성·비용 효율·전문성 모두 우수
대부분의 중소기업 및 온라인 쇼핑몰 등은 비용 효율성과 유연성 때문에 3PL을 선호합니다. 대규모 제조사나 유통사는 1PL을 유지하기도 하며, 2PL은 특정 구간(예: 해외 운송 등)에서만 활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