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시간에는 'Flex 컨테이너에 적용되는 속성들'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이번에는 컨테이너의 자식 요소인 아이템에 적용되는 속성들을 알아보자.
정해진 비율만큼 크기를 늘려, 여백 채우기 : flex-grow
display: flex에 적용된 것을 보면, 여백이 채워지지 않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이는 flex-grow의 기본 값이 0이기 때문이다. 만약 다음과 같이 아이템 박스 1에 flex-grow: 1을 지정하면, 나머지 여백의 100% 비율에 맞춰 크기를 늘리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아이템 박스 2에 flex-grow: 1을 지정하면, 나머지 여백의 박스1과 박스2가 각각 1:1의 비율로 크기를 늘리는 모습을 볼 수 있다.
See the Pen KKzePBg by joonho lee (@goldycoder) on CodePen.
박스의 기본 크기 정하기 : Flex-basis
설명 그대로, 아이템 박스들의 기본 크기를 정해준다.
박스의 기본 크기보다 값을 줄일 때 : Flex-shrink
이 요소는 Flex-basis와 같이 썼을 때, 의미가 있다. 숫자 값을 value로 갖는데, 기본 값인 1을 포함하여 1보다 크거나 같은 값을 갖으면 Flex-basis보다 크기가 더 작아지게 만든다.
내용출처 및 참고 사이트
이번에야말로 CSS Flex를 익혀보자
이 튜토리얼은 “차세대 CSS 레이아웃” 시리즈의 첫번째 포스트입니다. 이번에야말로 CSS Flex를 익혀보자 이번에야말로 CSS Grid를 익혀보자 벌써부터 스크롤의 압박이 느껴지고,‘좀 편안하게 누
studiomeal.com
'Web > CSS' 카테고리의 다른 글
[CSS3] display : grid ① Grid, 배우면 뭐가 좋을까? (0) | 2020.10.18 |
---|---|
[CSS] Position 속성 활용시, 주의하여야 할 점 (0) | 2020.09.18 |
[CSS3] display : flex ① Flex 컨테이너에 적용되는 속성들 (0) | 2020.09.14 |
[CSS] display : inline, block, inline-block 에 대해서 알아보자 (0) | 2020.09.11 |
[CSS] Position : fixed를 활용하여, 메뉴바를 화면 상단에 고정시키는 방법 (0) | 2020.09.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