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fra5 [Infra] Minikube를 활용하여 Kubernetes 핵심 개념을 익혀보자 오늘은 Minikube를 활용하여, Kubernetes 핵심 개념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이를 위해 오늘은 먼저 간단하게 로컬 환경을 구축해보겠습니다. Mac을 기준으로 설명합니다.Minikube란Minikube는 로컬 환경에서 Kubernetes 클러스터를 쉽게 실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도구입니다. 주로 개발자들이 로컬 머신에서 Kubernetes를 학습하거나 개발용으로 테스트할 때 사용됩니다. Minikube는 가상 머신(VM)이나 컨테이너를 사용하여 Kubernetes 클러스터를 실행하며, Kubernetes 클러스터의 주요 구성 요소인 API 서버, Controller Manager, Scheduler 등도 포함하여 실제 Kubernetes 환경과 유사한 환경을 제공합니다.명령형 구성먼저 아래.. Infra 2025. 3. 25. [Infra] Docker와 Kubernetes란 무엇인가? 개요등장 배경전통적인 배포 시대초기 조직은 애플리케이션을 물리 서버에서 실행했었다. 한 물리 서버에서 여러 애플리케이션의 리소스 한계를 정의할 방법이 없었기에, 리소스 할당의 문제가 발생했다.예를 들어 물리 서버 하나에서 여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리소스 전부를 차지하는 애플리케이션 인스턴스가 있을 수 있고, 결과적으로 다른 애플리케이션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었다. 이에 대한 해결책은 물리적인 서버를 여러 개 두는 것이지만, 각 리소스가 충분히 활용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확장 가능하지 않았으므로, 물리 서버를 유지하는 데 많은 비용이 소모되었다.가상화된 배포 시대가상화 기술의 등장 → 단일 물리 서버의 CPU에서 여러 가상 시스템을 실행 가능해졌다. 가상화를 사용하면 VM 간에 애플리케이션을 격리하고 .. Infra 2025. 3. 24. 간단하게 실습하며 배우는 Kubernetes와 Terraform (1) 로컬 Kubernetes 클러스터에 웹 서버 배포 자동화하기 서론오늘 로컬 환경에서 Kubernetes 및 Terraform에 대해 간단하게 실습하며, 적용해보겠습니다.참고로 설명은 Mac OS (M1 2020) 환경에 맞춰져 있습니다. Homebrew가 설치되어 있다는 가정 하에 실습이 진행됩니다.또한 Kubernetes 클러스터를 로컬에서 실행하기 위해, Docker가 로컬 환경에 설치된 상태여야 합니다.목표 이번 목표는 로컬 환경에서 Kubernetes 클러스터 위에 웹 서버 배포를 Terraform으로 자동화하는 것 입니다. 1단계 : 실습 환경 구축간단하게 Mac에서 brew를 이용하여, Kubernetes와 Terraform을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해보겠습니다.brew install kubectl kubernetes-cli helm kind ter.. Infra 2025. 2. 8. [AWS] AWS Batch 설정 가이드 AWS Batch를 설정하고 사용하는 과정은 여러 단계로 나뉘며, 클러스터를 구성하고 작업 대기열을 생성하며 작업 정의를 설정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아래는 AWS Batch 설정을 위한 단계별 가이드입니다.1. AWS Batch 환경 구성(1) 컴퓨팅 환경 생성AWS Batch에서 작업을 실행할 인프라 환경입니다. 이를 통해 EC2 인스턴스를 자동으로 시작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AWS Management Console에서 AWS Batch 서비스로 이동.Compute Environments로 이동 후 Create 버튼 클릭.Managed Environment를 선택 (AWS Batch가 인프라를 자동으로 관리).Instance Types: 작업에 필요한 EC2 유형을 선택하거나 특정 유형을 지정.Des.. Infra/AWS 2024. 12. 1. PresignedUrl 활용한 파일 다운로드/업로드 Timeout 에러 및 성능개선기 서론 (들어가기 앞서)현재 제가 재직 중인 회사는 온라인 강의 서비스와 커뮤니티 서비스를 운영합니다. 저희 고객 분들은 온라인으로 줌 강의를 수강하고, 모임 인증 사진을 커뮤니티에 사진을 업로드하곤 합니다. 문제는 모임이 끝나는 시점에 여러 명의 사용자가 동시 다발적으로, 동시에 업로드를 진행한다는 점입니다. 이로 인해 짧은 시간에 서버로 부하가 몰렸습니다. 특히 독서모임 등 1000명 가량의 인원이 동시에, 강의를 같은 시간에 수강한 이후, 인증을 진행하는 경우, 504 Timeout 에러로 인해 업로드 자체가 실패하는 경우도 많았습니다.현재 AWS S3 서비스를 이용 중인데, 기존에는 S3로 파일을 업로드할 때 WAS를 경유하는 구조였습니다. 특히 요청이 밀리다보면 뒤 요청은 TimeOut 에러로 인.. Infra 2024. 10. 22.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