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pter 1. 리팩터링: 첫 번째 예시
TL:DR;
- 리팩토링의 첫번째 단계는 기존 로직에 대한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단계별로 리팩토링할 때마다, 다시 실행하여 테스트가 깨지지 않는지 확인한다.
- 리팩토링을 효과적으로 하는 핵심은, 단계를 잘게 나눠야 더 빠르게 처리할 수 있고, 코드는 절대 깨지지 않으며, 이러한 작은 단계들이 모여서 상당히 큰 변화를 이룰 수 있다는 사실을 깨닫는 것이다.
- 좋은 코드를 가늠하는 확실한 방법은 얼마나 수정하기 쉬운가다. 코드를 수정하기 쉬운 정도야말로 좋은 코드를 가늠하는 확실한 방법이라고 믿는다. 코드는 명확해야 한다. 코드를 수정해야 할 상황에, 고쳐야 할 곳을 쉽게 찾을 수 있고 오류 없이 빠르게 수정할 수 있어야 한다. 건강한 코드베이스는 생산성을 극대화하고, 고객에게 필요한 기능을 더 빠르고 저렴한 비용으로 제공하도록 해준다.
예시 분석하기
앞서 리팩토링을 하는 리듬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다. 1과에서는 아래 예시 코드를 통해, 단계별로 리팩토링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려준다. 예시 코드의 요구사항 및 배경은 다음과 같다.
- 다양한 연극을 외주로 받아서 공연하는 극단이 있다.
- 공연 요청이 들어오면 연극의 장르와 관객 규모를 기초로 비용을 책정한다. (관객 규모가 특정 인원보다 크면, 추가 비용이 발생된다)
- 현재 이 극단은 두 가지 장르, 비극(tragedy) 와 희극(comedy) 만 공연한다.
- 그리고 공연료와 별개로 포인트(volume credit) 를 지급해서 다음번 의뢰 시 공연료를 할인받을 수 있다. (희극 장르는 5명 당 추가 포인트를 지급한다)
package refactoring.app.chapter01;
public class Statement {
public String statement(Invoice invoice, Plays plays) throws Exception {
int totalAmount = 0;
int volumeCredit = 0;
StringBuilder result = new StringBuilder(String.format("청구내역 (고객명: %s)\\n", invoice.getCustomer()));
for (Performance performance : invoice.getPerformances()) {
Play play = plays.get(performance);
int thisAmount = 0;
switch (play.getType()) {
case TRAGEDY:
thisAmount = 40000;
if (performance.getAudience() > 30) {
thisAmount += 1000 * (performance.getAudience() - 30);
}
break;
case COMEDY:
thisAmount = 30000;
if (performance.getAudience() > 20) {
thisAmount += 10000 + 500 * (performance.getAudience() - 20);
}
thisAmount += 300 * performance.getAudience();
break;
default:
throw new Exception("알 수 없는 장르");
}
// 포인트를 적립한다.
volumeCredit += Math.max(performance.getAudience() - 30, 0);
// 희극 관객 5명마다 추가 포인트를 제공한다.
if (play.getType().equals(PlayType.COMEDY)) {
volumeCredit += Math.floor(performance.getAudience() / 5);
}
// 청구 내역을 출력한다.
result.append(String.format("%s: $%d %d석\\n",play.getName(), thisAmount / 100, performance.getAudience()));
totalAmount += thisAmount;
}
result.append(String.format("총액: $%d\\n",totalAmount / 100));
result.append(String.format("적립 포인트: %d점", volumeCredit));
return result.toString();
}
}
요청 값은 아래와 같다.
plays.json
{
"hamlet": {
"name": "hamlet",
"type": "tragedy"
},
"as-like": {
"name": "As You Like It",
"type": "comedy"
},
"othello": {
"name": "Othello",
"type": "tragedy"
}
}
invoice.json
[
{
"customer": "BigCo",
"performances": [
{
"playID": "hamlet",
"audience": 55
},
{
"playID": "as-like",
"audience": 35
},
{
"playID": "othello",
"audience": 40
}
]
}
]
결과는 다음과 같이 출력된다.
청구내역 (고객명: BigCo)
hamlet: $650 55석
As You Like It: $580 35석
Othello: $500 40석
총액: $1730
적립 포인트: 47점
자, 이 프로그램을 본 소감이 어떠한가? 기능이 정상 동작하지만, 기능 추가를 위한 수정 작업을 진행하기 어려워 보인다.
사람은 설계가 나쁜 시스템을 수정하기 어렵다. 원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해 수정해야 할 부분을 찾고, 기존 코드와 잘 맞물려 작동하게 할 방법을 강구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프로그램의 구조가 빈약하다면 대체로 구조부터 바로 잡은 뒤에 기능을 수정하는 편이 훨씬 수월하다.
프로그램이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기에 편한 구조가 아니라면, 먼저 기능을 추가하기 쉬운 형태로 리팩터링하고 나서 원하는 기능을 추가한다.
새로운 기능을 추가한다면?
만약 청구 내역을 HTML 로도 출력하는 기능이 필요하다고 가정해보자. 이 변경이 어느 부분에 영향을 줄 지 생각해보자.
우선 HTML 태그를 삽입해야 하고 statement() 함수에서 조건문에 따라서 어떤건 HTML 로 어떤건 텍스트로 출력하도록 추가할 것이다. 그러면 statement() 의 함수의 복잡도가 크게 증가한다. 이런 문제 때문에 기존에 존재하는 statement() 함수의 복사본을 만들어서 htmlStatement() 로 만들어서 사용하기도 할 것이다.
이렇게 되면 코드의 중복이 발생하고 변경 포인트가 두 개가 된다. 즉 DRY 원칙에 위반된다.
두 번째 변경 사항으로 배우들이 사극, 전원극, 전원 희극, 역사 전원극, 역사 비극, 회비 역사 전원극, 장면 변화가 없는 고전극 등 더 많은 장르를 연기하고자 한다.
언제 어떤 연극을 할지는 아직 결정하지 못했지만 이 변경은 공연료와 적립 포인트 계산법에 영향을 줄 것이다.
리팩토링의 첫 단계
- 리팩토링의 첫 단계는 항상 똑같다. 리팩토링할 코드가 잘 작동하는지 검사해줄 테스트 코드를 만드느 것이다.
- 리팩토링에서 테스트의 역할은 굉장히 중요하다. 리팩토링 기법들로 버그의 발생 여지를 최소화 한다고는 하지만 사람이 수행하는 일은 언제든 실수할 수 있다. 테스트는 실수할 수 있는 상황을 예방해준다.
함수 쪼개기
- statement() 처럼 긴 함수를 리팩토링 할 때는 먼저 전체 동작을 각각의 부분으로 나눌 수 있는 지점을 찾는다.
- 중간 즈음의 switch 문부터 수정해보자.
switch (play.getType()) {
case TRAGEDY:
thisAmount = 40000;
if (performance.getAudience() > 30) {
thisAmount += 1000 * (performance.getAudience() - 30);
}
break;
case COMEDY:
thisAmount = 30000;
if (performance.getAudience() > 20) {
thisAmount += 10000 + 500 * (performance.getAudience() - 20);
}
thisAmount += 300 * performance.getAudience();
break;
default:
throw new Exception("알 수 없는 장르");
}
- 코드 분석 결과, 이 switch 문의 역할은 한 번의 공연에 대한 요금을 계산하는 것이다.
- 워드 커닝햄(Ward Cunningham) 이 말하길, 이런 식으로 파악한 정보는 휘발성이 높기로 악명 높은 저장 장치인 내 머릿속에 기록되므로, 잊지 않으려면 재빨리 코드에 반영해야 한다.
- 따라서 메서드의 네이밍만 보고도, 분석 없이도 코드의 역할을 쉽게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 추출한 함수에는 그 코드가 하는 일을 설명하는 이름을 지워준다. 이름은 amountFor(performance) 정도면 적당해 보인다.
amountFor() 메소드
private int amountFor(Performance performance, Play play) throws Exception {
int thisAmount;
switch (play.getType()) {
case TRAGEDY:
thisAmount = 40000;
if (performance.getAudience() > 30) {
thisAmount += 1000 * (performance.getAudience() - 30);
}
break;
case COMEDY:
thisAmount = 30000;
if (performance.getAudience() > 20) {
thisAmount += 10000 + 500 * (performance.getAudience() - 20);
}
thisAmount += 300 * performance.getAudience();
break;
default:
throw new Exception("알 수 없는 장르");
}
return thisAmount;
}
바뀐 statement() 메소드
public String statement(Invoice invoice, Plays plays) throws Exception {
int totalAmount = 0;
int volumeCredit = 0;
StringBuilder result = new StringBuilder(String.format("청구내역 (고객명: %s)\\n", invoice.getCustomer()));
for (Performance performance : invoice.getPerformances()) {
Play play = plays.get(performance);
int thisAmount = amountFor(performance, play);
// 포인트를 적립한다.
volumeCredit += Math.max(performance.getAudience() - 30, 0);
// 희극 관객 5명마다 추가 포인트를 제공핟나.
if (play.getType().equals(PlayType.COMEDY)) {
volumeCredit += Math.floor(performance.getAudience() / 5);
}
// 청구 내역을 출력한다.
result.append(String.format("%s: $%d %d석\\n",play.getName(), thisAmount / 100, performance.getAudience()));
totalAmount += thisAmount;
}
result.append(String.format("총액: $%d\\n",totalAmount / 100));
result.append(String.format("적립 포인트: %d점", volumeCredit));
return result.toString();
}
- 이렇게 리팩토링을 할 때마다 곧바로 테스트를 돌려서 제대로 작동하는지 확인한다.
- 아무리 간단한 리팩토링이라고 하더라도 리팩토링 후에는 항상 테스트 습관을 들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 한 가지를 수정할 때마다 테스트하면 오류가 생기더라도 변경 폭이 작기 때문에 문제를 찾고 해결하기가 쉽다.
- 한 번에 너무 많이 수정하려다 실수하면 디버깅하기 어려워져서 작업 시간이 늘어난다.
- 리팩토링은 프로그램 수정을 작은 단계로 나눠 진행한다. 그래서 중간에 실수하더라도 버그를 쉽게 찾을 수 있다.
- 함수 추출하기는 흔히 IDE 에서 자동으로 수행해준다. 그러므로 이런 기능을 하는 단축키를 알아두는게 좋다. (IntelliJ, macOS: command + opt + m)
- 함수를 추출하고 나면 추출된 함수 코드를 자세히 들여다보면서 지금보다 명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간단한 방법은 없는지 검토한다.
- 가장 먼저 변수의 이름을 더 명확하게 바꿔보자. thisAmount 의 이름은 result 로 변경하는게 가능하다.
변수명 변경하기
- 함수의 반환 값에는 항상 result 라는 이름을 쓰자. 이번에도 마찬가지로 테스트를 돌려보자. 다음으로는 인수의 이름을 변경해보자. performance 를 aPerformance 로 변경해보자. (이는 자바스크립트 코딩이라서 타입을 명확하게 들어내도록 이름을 이렇게 변경한 것이다. 위 코드는 자바로 작성되어있으므로 그렇게 하지 않아도 된다. 마틴 파울러는 매개변수의 역할이 뚜렷하지 않을 때는 부정 관사를 붙인다고 한다.)
- 이렇게 이름을 바꿀 필요는 있을까? 물론이다. 좋은 코드는 하는 일이 명확히 보여야하고 이름은 이에 크게 기여한다.
- 다음으로 play 매개변수의 이름을 바꿀 차례다. 그런데 이 변수는 좀 다르게 처리해야한다.
불필요한 변수 제거하기
- amountFor() 함수를 다시 천천히 살펴보자. performance 파라미터는 statement() 함수에서 반복문을 돌때마다 새로운 값으로 된다.
- 반면에 play 는 performance 의 값을 기준으로 plays 에서 계산되는 변수다. 즉 performance 로 부터 계산되는 변수기 때문에 애초에 변수로 만들 필요는 없다.
- 그냥 계산해주는 함수를 만들면 된다.
- 나는 긴 함수를 잘게 쪼갤 때마다 play 같은 변수는 최대한 제거한다. 이런 임시 변수들 때문에 로컬 범위에 존재하는 이름이 늘어나서 추출 작업이 복잡해지기 때문이다. (즉 변수를 많이 만들면 함수 추출이 어렵기 때문에 계산된 결과를 반영해주는 변수는 함수로 바꾼다는 뜻)
- 이 방법은 임시 변수를 질의 함수로 바꾸기 기법을 사용해서 해결한다.
playFor 메소드
private Play playFor(Plays plays, Performance performance) {
return plays.get(performance);
}
statement 메소드
public String statement(Invoice invoice, Plays plays) throws Exception {
int totalAmount = 0;
int volumeCredit = 0;
StringBuilder result = new StringBuilder(String.format("청구내역 (고객명: %s)\\n", invoice.getCustomer()));
for (Performance performance : invoice.getPerformances()) {
int thisAmount = amountFor(performance, plays);
// 포인트를 적립한다.
volumeCredit += Math.max(performance.getAudience() - 30, 0);
// 희극 관객 5명마다 추가 포인트를 제공핟나.
if (playFor(plays, performance).getType().equals(PlayType.COMEDY)) {
volumeCredit += Math.floor(performance.getAudience() / 5);
}
// 청구 내역을 출력한다.
result.append(String.format("%s: $%d %d석\\n",playFor(plays, performance).getName(), thisAmount / 100, performance.getAudience()));
totalAmount += thisAmount;
}
result.append(String.format("총액: $%d\\n",totalAmount / 100));
result.append(String.format("적립 포인트: %d점", volumeCredit));
return result.toString();
}
amountFor 메소드
private int amountFor(Performance performance, Plays plays) throws Exception {
int result;
switch (playFor(plays, performance).getType()) {
case TRAGEDY:
result = 40000;
if (performance.getAudience() > 30) {
result += 1000 * (performance.getAudience() - 30);
}
break;
case COMEDY:
result = 30000;
if (performance.getAudience() > 20) {
result += 10000 + 500 * (performance.getAudience() - 20);
}
result += 300 * performance.getAudience();
break;
default:
throw new Exception("알 수 없는 장르");
}
return result;
}
- 이렇게 지역 변수를 제거해서 얻는 가장 큰 장점은 함수 추출하기 작업이 훨씬 쉬워진다는 것이다. 유효 범위를 신경써야 할 대상이 줄어들기 때문이다.
- 이제 statement() 함수로 돌아가서 보자. amountFor 함수로 thisAmount 변수를 대체할 수 있고 thisAmount 값이 이제 변하지 않으니 인라인 함수로 바꿀 수 있다. 그러므로 따라서 변수 인라인하기 를 적용한다.
public String statement(Invoice invoice, Plays plays) throws Exception {
int totalAmount = 0;
int volumeCredit = 0;
StringBuilder result = new StringBuilder(String.format("청구내역 (고객명: %s)\\n", invoice.getCustomer()));
for (Performance performance : invoice.getPerformances()) {
// 포인트를 적립한다.
volumeCredit += Math.max(performance.getAudience() - 30, 0);
// 희극 관객 5명마다 추가 포인트를 제공핟나.
if (playFor(plays, performance).getType().equals(PlayType.COMEDY)) {
volumeCredit += Math.floor(performance.getAudience() / 5);
}
// 청구 내역을 출력한다.
result.append(String.format("%s: $%d %d석\\n",playFor(plays, performance).getName(), amountFor(performance, plays) / 100, performance.getAudience()));
totalAmount += amountFor(performance, plays);
}
result.append(String.format("총액: $%d\\n",totalAmount / 100));
result.append(String.format("적립 포인트: %d점", volumeCredit));
return result.toString();
}
- 이제 변수가 많이 줄었다. 그러므로 적립 포인트 계산 부분을 추출하기가 더 쉬워졌다.
- 이제 처리해야할 변수가 두 개 더 남아있다. performance 를 간단히 전달만 하면 된다.
volumeCreditFor 메소드
private int volumeCreditFor(Plays plays, Performance performance) {
int volumeCredit = 0;
// 포인트를 적립한다.
volumeCredit += Math.max(performance.getAudience() - 30, 0);
// 희극 관객 5명마다 추가 포인트를 제공한다.
if (playFor(plays, performance).getType().equals(PlayType.COMEDY)) {
volumeCredit += Math.floor(performance.getAudience() / 5);
}
return volumeCredit;
}
statement 메소드
public String statement(Invoice invoice, Plays plays) throws Exception {
int totalAmount = 0;
int volumeCredit = 0;
StringBuilder result = new StringBuilder(String.format("청구내역 (고객명: %s)\\n", invoice.getCustomer()));
for (Performance performance : invoice.getPerformances()) {
volumeCredit += volumeCreditFor(plays, performance);
// 청구 내역을 출력한다.
result.append(String.format("%s: $%d %d석\\n",playFor(plays, performance).getName(), amountFor(performance, plays) / 100, performance.getAudience()));
totalAmount += amountFor(performance, plays);
}
result.append(String.format("총액: $%d\\n",totalAmount / 100));
result.append(String.format("적립 포인트: %d점", volumeCredit));
return result.toString();
}
그 다음 아까와 마찬가지로 새로 추출한 함수에서 변수 이름을 바꾼다.
volumeCreditsFor 메소드
private int volumeCreditFor(Plays plays, Performance performance) {
int result = 0;
result += Math.max(performance.getAudience() - 30, 0);
if (playFor(plays, performance).getType().equals(PlayType.COMEDY)) {
result += Math.floor(performance.getAudience() / 5);
}
return result;
}
- 다음으로 살펴볼 변수는 statement 메소드에 있는 volumeCredits 인데 이 변수는 반복문을 돌 때마다 값을 누적시킨다.
- 이 변수를 메소드로 같이 빼내고 싶지만 다른 함수들과 변수들도 같이 있기 때문에 빼내기 쉽지않다.
- 이때 사용하는 방법은 반복문 쪼개기 라는 방법을 사용한다. (이 방법의 트레이드 오프는 한 반복문에서 모든 처리를 하는게 아니라 반복을 여러번 돌리는 것이므로 성능상으로는 단점이 있겠다. 대신에 얻는 장점으로는 코드의 가독성이 있겠지.)
statement 메소드
public String statement(Invoice invoice, Plays plays) throws Exception {
int totalAmount = 0;
int volumeCredit = 0;
StringBuilder result = new StringBuilder(String.format("청구내역 (고객명: %s)\\n", invoice.getCustomer()));
for (Performance performance : invoice.getPerformances()) {
// 청구 내역을 출력한다.
result.append(String.format("%s: $%d %d석\\n",playFor(plays, performance).getName(), amountFor(performance, plays) / 100, performance.getAudience()));
totalAmount += amountFor(performance, plays);
}
for (Performance performance : invoice.getPerformances()) {
volumeCredit += volumeCreditFor(plays, performance);
}
result.append(String.format("총액: $%d\\n",totalAmount / 100));
result.append(String.format("적립 포인트: %d점", volumeCredit));
return result.toString();
}
- 이어서 문장 슬라이스 라는 방법을 이용해서 변수의 위치를 옮긴다.
statement 메소드
public String statement(Invoice invoice, Plays plays) throws Exception {
int totalAmount = 0;
StringBuilder result = new StringBuilder(String.format("청구내역 (고객명: %s)\\n", invoice.getCustomer()));
for (Performance performance : invoice.getPerformances()) {
// 청구 내역을 출력한다.
result.append(String.format("%s: $%d %d석\\n",playFor(plays, performance).getName(), amountFor(performance, plays) / 100, performance.getAudience()));
totalAmount += amountFor(performance, plays);
}
int volumeCredit = 0;
for (Performance performance : invoice.getPerformances()) {
volumeCredit += volumeCreditFor(plays, performance);
}
result.append(String.format("총액: $%d\\n",totalAmount / 100));
result.append(String.format("적립 포인트: %d점", volumeCredit));
return result.toString();
}
- volumeCredits 값 갱신과 관련된 문장들을 한데다 모우면 임시 변수를 질의 함수로 바꾸기 가 가능해진다. 그러면 다음과 같이 된다.
totalVolumeCredits() 메소드
private int totalVolumeCredits(Invoice invoice, Plays plays) {
int volumeCredit = 0;
for (Performance performance : invoice.getPerformances()) {
volumeCredit += volumeCreditFor(plays, performance);
}
return volumeCredit;
}
statement() 메소드
public String statement(Invoice invoice, Plays plays) throws Exception {
int totalAmount = 0;
StringBuilder result = new StringBuilder(String.format("청구내역 (고객명: %s)\\n", invoice.getCustomer()));
for (Performance performance : invoice.getPerformances()) {
// 청구 내역을 출력한다.
result.append(String.format("%s: $%d %d석\\n",playFor(plays, performance).getName(), amountFor(performance, plays) / 100, performance.getAudience()));
totalAmount += amountFor(performance, plays);
}
int volumeCredit = totalVolumeCredits(invoice, plays);
result.append(String.format("총액: $%d\\n",totalAmount / 100));
result.append(String.format("적립 포인트: %d점", volumeCredit));
return result.toString();
}
- 이렇게 임시 변수를 질의 함수로 바꿨다면 변수를 함수로 바꾸는 인라인 기법 을 사용할 수 있다.
public String statement(Invoice invoice, Plays plays) throws Exception {
int totalAmount = 0;
StringBuilder result = new StringBuilder(String.format("청구내역 (고객명: %s)\\n", invoice.getCustomer()));
for (Performance performance : invoice.getPerformances()) {
// 청구 내역을 출력한다.
result.append(String.format("%s: $%d %d석\\n",playFor(plays, performance).getName(), amountFor(performance, plays) / 100, performance.getAudience()));
totalAmount += amountFor(performance, plays);
}
result.append(String.format("총액: $%d\\n",totalAmount / 100));
result.append(String.format("적립 포인트: %d점", totalVolumeCredits(invoice, plays)));
return result.toString();
}
여기서 잠시 멈추고 방금 한 일에 대해 생각해보자. 반복문을 쪼개서 성능이 느려지지 않을까? 라는 걱정을 할 수 있다. 이처럼 반복문이 중복되는 것을 꺼려하는 이들이 많지만 이 정도 중복은 성능에 미치는 영향이 미비할때가 많다. 실제로 리팩터링 전과 후의 실행 시간을 측정해보면 차이를 거의 느끼지 못할 것이다.
그리고 똑똑한 컴파일러들은 최신 캐싱 기법을 무장하고 있어서 차이가 없도록 만들어 줄 것이다. 하지만 이처럼 리팩토링이 성능에 상당히 영향을 줄 수도 있다. 그런 경우라도 나는 개의치 않고 리팩토링 한다. 잘 다듬어진 코드여야 성능의 개선 작업도 훨씬 수월하기 때문이다. 리팩터링 과정에서 성능이 크게 떨어졌다면 리팩토링 후에 시간을 내서 성능을 개선하면 된다.리팩토링의 효과로 인해 더 깔끔하면서 더 빠른 코드를 얻을 확률이 높다.
정리하자면 리팩토링으로 인한 성능 문제에 대한 나의 조언은 특별한 경우가 아니라면 일단 무시하라. 라는 것이다. 리팩토링 때문에 성능이 떨어졌다면 하던 리팩토링을 마무리하고 성능을 올리면 된다. 그리고 리팩토링 중간에 테스트가 실패하고 원인을 바로 찾지 못한다면 가장 최근의 커밋으로 돌아가서 테스트에 실패한 리팩토링의 단계르 더 작게 나눠서 다시 시도하면 된다. (이처럼 자주 커밋을 하는게 좋겠다.)
다음으로 totalAmount 도 앞에서와 똑같은 절차로 제거한다. 먼저 반복문을 쪼개고, 변수 초기화 문장을 옮긴 다음에 함수를 추출한다. 그 다음 인라인 함수로 만들면 된다.
totalAmount() 메소드
private int totalAmount(Invoice invoice, Plays plays) throws Exception {
int totalAmount = 0;
for (Performance performance : invoice.getPerformances()) {
totalAmount += amountFor(performance, plays);
}
return totalAmount / 100;
}
statement 메소드
public String statement(Invoice invoice, Plays plays) throws Exception {
StringBuilder result = new StringBuilder(String.format("청구내역 (고객명: %s)\\n", invoice.getCustomer()));
for (Performance performance : invoice.getPerformances()) {
result.append(String.format("%s: $%d %d석\\n",playFor(plays, performance).getName(), amountFor(performance, plays) / 100, performance.getAudience()));
}
result.append(String.format("총액: $%d\\n",totalAmount(invoice, plays)));
result.append(String.format("적립 포인트: %d점", totalVolumeCredits(invoice, plays)));
return result.toString();
}
여기서 잠시 멈춰 서서 지금까지 리팩토링한 결과를 살펴보자.
전체 메소드 구조
public class Statement {
public String statement(Invoice invoice, Plays plays) throws Exception {
StringBuilder result = new StringBuilder(String.format("청구내역 (고객명: %s)\\n", invoice.getCustomer()));
for (Performance performance : invoice.getPerformances()) {
result.append(String.format("%s: $%d %d석\\n",playFor(plays, performance).getName(), amountFor(performance, plays) / 100, performance.getAudience()));
}
result.append(String.format("총액: $%d\\n",totalAmount(invoice, plays)));
result.append(String.format("적립 포인트: %d점", totalVolumeCredits(invoice, plays)));
return result.toString();
}
private int totalAmount(Invoice invoice, Plays plays) throws Exception {
int totalAmount = 0;
for (Performance performance : invoice.getPerformances()) {
totalAmount += amountFor(performance, plays);
}
return totalAmount / 100;
}
private int totalVolumeCredits(Invoice invoice, Plays plays) {
int volumeCredit = 0;
for (Performance performance : invoice.getPerformances()) {
volumeCredit += volumeCreditFor(plays, performance);
}
return volumeCredit;
}
private int volumeCreditFor(Plays plays, Performance performance) {
int result = 0;
result += Math.max(performance.getAudience() - 30, 0);
if (playFor(plays, performance).getType().equals(PlayType.COMEDY)) {
result += Math.floor(performance.getAudience() / 5);
}
return result;
}
private Play playFor(Plays plays, Performance performance) {
return plays.get(performance);
}
private int amountFor(Performance performance, Plays plays) throws Exception {
int result;
switch (playFor(plays, performance).getType()) {
case TRAGEDY:
result = 40000;
if (performance.getAudience() > 30) {
result += 1000 * (performance.getAudience() - 30);
}
break;
case COMEDY:
result = 30000;
if (performance.getAudience() > 20) {
result += 10000 + 500 * (performance.getAudience() - 20);
}
result += 300 * performance.getAudience();
break;
default:
throw new Exception("알 수 없는 장르");
}
return result;
}
}
statement() 메소드의 경우 전체 줄이 7 줄 밖에 없다. 계산 로직은 모두 여러 개의 보조 함수로 빼냈다.
그 결과, 각 계산 과정은 물론 전체 흐름을 이해하기가 훨씬 쉬워졌다.
계산 단계와 포맷팅 단계 분리하기
지금까지는 프로그램의 논리적인 요소를 파악하기 쉽도록 코드의 구조를 나누고 보강하는데 주력으로 리팩토링 했다. 이는 리팩토링 초기에 주로 수행하는 일이다.
복잡하게 얽힌 덩어리를 잘게 쪼개는 작업은 이름 짓기 만큼이나 중요하다.
골격은 충분히 개선댔으니 이제 원하던 기능 변경, 즉 statement() 의 HTML 버전을 만드는 작업을 살펴보자. 여러 각도에서 볼 때 확실히 처음 코드보다 작업하기 편해졌다.
계산 코드가 모두 분리됐기 때문에 일곱 줄짜리 최상단 코드에 대응하는 HTML 버전만 작성하면 된다. 현재 statement() 메소드 안에는 텍스트 버전만 들어있다. 물론 이 코드를 그대로 복사해서 이용하면 htmlStatement() 를 쉽게 만들 수 있다. 이 방법은 코드의 중복을 야기하므로 좋진 않다.
나는 텍스트 버전과 HTML 버전 함수 모두가 똑같은 계산 함수들을 사용하게 만들고 싶다. 다양한 해결책 중 내가 가장 선호하는 방식은 단계 쪼개기 다.(겹치는 부분과 다른 부분을 나누는 방식같다. 다른 부분이 아마 확장성과 관련된 부분이곘지.)
첫 단계에서는 statement() 에 필요한 데이터를 처리하는 부분으로 하고 두 번째 단계에서는 앞서 처리한 결과를 텍스트나 HTML 로 표현하도록 한다. 다시 말해서 첫 번째 단계에서는 두 번째 단계로 전달할 중간 데이터 구조를 생성하는 것이다.
단계를 쪼개려면 먼저 두 번째 단계가 될 코드들을 함수 추출하기 로 뽑아내야 한다. 이 예에서는 두 번째 단계가 청구 내역을 출력하는 코드인데 현재까지 작성한 statement 에서는 본문 전체가 해당한다.
renderPlainText 메소드
private String renderPlainText(Invoice invoice, Plays plays) throws Exception {
StringBuilder result = new StringBuilder(String.format("청구내역 (고객명: %s)\\n", invoice.getCustomer()));
for (Performance performance : invoice.getPerformances()) {
result.append(String.format("%s: $%d %d석\\n",playFor(plays, performance).getName(), amountFor(performance, plays) / 100, performance.getAudience()));
}
result.append(String.format("총액: $%d\\n",totalAmount(invoice, plays)));
result.append(String.format("적립 포인트: %d점", totalVolumeCredits(invoice, plays)));
return result.toString();
}
statement() 메소드
public String statement(Invoice invoice, Plays plays) throws Exception {
return renderPlainText(invoice, plays);
}
항상 하듯이 수정한 코드를 컴파일-테스트-커밋 한다. 다음으로 중간 데이터 구조 역할을 할 객체를 만들어서 renderPlainText() 에 인수로 전달한다.
statement 메소드와 renderPlainText 메소드
public String statement(Invoice invoice, Plays plays) throws Exception {
StatementData statementData = new StatementData(invoice, plays);
return renderPlainText(statementData, invoice, plays);
}
private String renderPlainText(StatementData statementData, Invoice invoice, Plays plays) throws Exception {
StringBuilder result = new StringBuilder(String.format("청구내역 (고객명: %s)\\n", invoice.getCustomer()));
for (Performance performance : invoice.getPerformances()) {
result.append(String.format("%s: $%d %d석\\n",playFor(plays, performance).getName(), amountFor(performance, plays) / 100, performance.getAudience()));
}
result.append(String.format("총액: $%d\\n",totalAmount(invoice, plays)));
result.append(String.format("적립 포인트: %d점", totalVolumeCredits(invoice, plays)));
return result.toString();
}
이제 renderPlainText 에 전달되는 다른 두 인수 Invoice 와 Plays 의 데이터를 StatementData 로 하나씩 옮겨보면 된다.
그러면 출력에 필요한 데이터는 모두 StatementData 로 옮겨지게 되고 출력은 출력에만 집중하면 된다.
가장 먼저 고객정보로부터 중간 데이터 구조로 옮겨보자 이 작업도 컴파일-테스트-커밋 하면 된다.
StatementData 클래스
public class StatementData {
private Invoice invoice;
private Plays plays;
public StatementData(Invoice invoice, Plays plays) {
this.invoice = invoice;
this.plays = plays;
}
public String getCustomer() {
return invoice.getCustomer();
}
}
renderPlainText() 메소드
private String renderPlainText(StatementData statementData, Invoice invoice, Plays plays) throws Exception {
StringBuilder result = new StringBuilder(String.format("청구내역 (고객명: %s)\\n", statementData.getCustomer()));
for (Performance performance : invoice.getPerformances()) {
result.append(String.format("%s: $%d %d석\\n",playFor(plays, performance).getName(), amountFor(performance, plays) / 100, performance.getAudience()));
}
result.append(String.format("총액: $%d\\n",totalAmount(invoice, plays)));
result.append(String.format("적립 포인트: %d점", totalVolumeCredits(invoice, plays)));
return result.toString();
}
같은 방식으로 공연 정보까지 중간 데이터 구조로 옮긴다면 Invoice 객체는 이제 renderPlainText() 에서 사라져도 된다.
StatementData 클래스
public class StatementData {
private Invoice invoice;
private Plays plays;
public StatementData(Invoice invoice, Plays plays) {
this.invoice = invoice;
this.plays = plays;
}
public String getCustomer() {
return invoice.getCustomer();
}
public Invoice getInvoice() {
return invoice;
}
public List<Performance> getPerformances() {
return invoice.getPerformances();
}
}
statement() 메소드와 renderPlainText() 메소드
public String statement(Invoice invoice, Plays plays) throws Exception {
StatementData statementData = new StatementData(invoice, plays);
return renderPlainText(statementData, plays);
}
private String renderPlainText(StatementData statementData, Plays plays) throws Exception {
StringBuilder result = new StringBuilder(String.format("청구내역 (고객명: %s)\\n", statementData.getCustomer()));
for (Performance performance : statementData.getPerformances()) {
result.append(String.format("%s: $%d %d석\\n",playFor(plays, performance).getName(), amountFor(performance, plays) / 100, performance.getAudience()));
}
result.append(String.format("총액: $%d\\n",totalAmount(statementData.getInvoice(), plays)));
result.append(String.format("적립 포인트: %d점", totalVolumeCredits(statementData.getInvoice(), plays)));
return result.toString();
}
그렁 다음 renderPlainText() 안에서 playFor() 를 호출하던 부분을 중간 데이터를 사용하도록 바꾼다.
StatementData 클래스
public class StatementData {
private Invoice invoice;
private Plays plays;
public StatementData(Invoice invoice, Plays plays) {
this.invoice = invoice;
this.plays = plays;
}
public String getCustomer() {
return invoice.getCustomer();
}
public Invoice getInvoice() {
return invoice;
}
public List<Performance> getPerformances() {
return invoice.getPerformances();
}
public Play playFor(Performance performance) {
return plays.get(performance);
}
}
renderPlainText() 메소드
private String renderPlainText(StatementData statementData, Plays plays) throws Exception {
StringBuilder result = new StringBuilder(String.format("청구내역 (고객명: %s)\\n", statementData.getCustomer()));
for (Performance performance : statementData.getPerformances()) {
result.append(String.format("%s: $%d %d석\\n",statementData.playFor(performance).getName(), amountFor(performance, plays) / 100, performance.getAudience()));
}
result.append(String.format("총액: $%d\\n",totalAmount(statementData.getInvoice(), plays)));
result.append(String.format("적립 포인트: %d점", totalVolumeCredits(statementData.getInvoice(), plays)));
return result.toString();
}
이어서 amountFor 메소드도 비슷하게 옮긴다.
계속해서 적립 포인트 계산하는 부분과 총합을 구하는 부분도 중간 데이터(statementData) 를 이용하도록 바꾼다.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Statement 클래스
public class Statement {
public String statement(Invoice invoice, Plays plays) throws Exception {
StatementData statementData = new StatementData(invoice, plays);
return renderPlainText(statementData);
}
private String renderPlainText(StatementData statementData) throws Exception {
StringBuilder result = new StringBuilder(String.format("청구내역 (고객명: %s)\\n", statementData.getCustomer()));
for (Performance performance : statementData.getPerformances()) {
result.append(String.format("%s: $%d %d석\\n",statementData.playFor(performance).getName(), statementData.amountFor(performance) / 100, performance.getAudience()));
}
result.append(String.format("총액: $%d\\n", statementData.totalAmount()));
result.append(String.format("적립 포인트: %d점", statementData.totalVolumeCredits()));
return result.toString();
}
}
StatementData 클래스
public class StatementData {
private Invoice invoice;
private Plays plays;
public StatementData(Invoice invoice, Plays plays) {
this.invoice = invoice;
this.plays = plays;
}
public String getCustomer() {
return invoice.getCustomer();
}
public Invoice getInvoice() {
return invoice;
}
public List<Performance> getPerformances() {
return invoice.getPerformances();
}
public Play playFor(Performance performance) {
return plays.get(performance);
}
public int amountFor(Performance performance) throws Exception {
int result;
switch (playFor(performance).getType()) {
case TRAGEDY:
result = 40000;
if (performance.getAudience() > 30) {
result += 1000 * (performance.getAudience() - 30);
}
break;
case COMEDY:
result = 30000;
if (performance.getAudience() > 20) {
result += 10000 + 500 * (performance.getAudience() - 20);
}
result += 300 * performance.getAudience();
break;
default:
throw new Exception("알 수 없는 장르");
}
return result;
}
public int totalAmount() throws Exception {
int totalAmount = 0;
for (Performance performance : invoice.getPerformances()) {
totalAmount += amountFor(performance);
}
return totalAmount / 100;
}
public int totalVolumeCredits() {
int volumeCredit = 0;
for (Performance performance : invoice.getPerformances()) {
volumeCredit += volumeCreditFor(performance);
}
return volumeCredit;
}
private int volumeCreditFor(Performance performance) {
int result = 0;
result += Math.max(performance.getAudience() - 30, 0);
if (playFor(performance).getType().equals(PlayType.COMEDY)) {
result += Math.floor(performance.getAudience() / 5);
}
return result;
}
}
마지막으로 컴파일-테스트-커밋 후에 HTML 버전을 작성하면 된다.
renderHtml() 메소드
private String renderHtml(StatementData statementData) throws Exception {
StringBuilder result = new StringBuilder(String.format("<h1> 청구내역 (고객명: %s)\\n </h1>", statementData.getCustomer()));
result.append("<table> \\n");
result.append("<tr><th> 연극 </th> <th>좌석 수</th> <th>금액</th>");
for (Performance performance : statementData.getPerformances()) {
result.append(String.format("<tr><td> %s: </td> <td> $%d </td> <td> %d석 </td></tr>\\n",statementData.playFor(performance).getName(), statementData.amountFor(performance) / 100, performance.getAudience()));
}
result.append("</table>\\n");
result.append(String.format("총액: $%d\\n", statementData.totalAmount()));
result.append(String.format("적립 포인트: %d점", statementData.totalVolumeCredits()));
return result.toString();
}
처음보다 코드량이 늘어났지만 모듈화 를 통해 전체 로직이 보다 명료해졌다.
이렇게 모듈화하면 각 부분이 하는 일과 그 부분들이 맞물려서 돌아가는 과정을 이해하기가 쉬워진다.
간결함이 지혜의 정수일지 몰라도 프로그래밍에서만큼은 명료함이 진화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의 정수다.
모듈화한 덕분에 계산 코드를 중복하지 않고도 HTMl 버전을 만들 수 있었다.
다음과 같은 말이 있다.
캠필자들에게는 도착했을 대보다 깔끔하게 정돈하고 떠난다 라는 규칙이 있다. 프로그래밍도 마찬가지다. 항시 코드베이스를 작업 시작 전보다 건강하게 만들어 놓고 떠나야한다.
다형성을 활용해 계산 코드 재구성하기
이번에는 연극 장르를 추가하고 장르마다 공연료와 적립 포인트 계산법을 다르게 저장하도록 기능을 수정해보자. 현재 상태에서 코드를 변경하려면 이 계산을 수행하는 함수에서 조건문을 수정해야한다. amountFor 메소드를 보면 연극 장르에 따라 계산 방법이 달라진다는 사실을 알 수 있는데, 이런 형태의 조건부 로직은 코드 수정 횟수가 늘어날수록 골칫거리고 전략하기 쉽다.
이를 방지하려면 프로그래밍 언어가 제공하는 구조적인 요소로 보완해야 한다. 조건부 로직을 명확한 구조로 보완하는 방법은 다양하다. 여기서는 객체지향 핵심 특성인 다형성을 활용하도록 하겠다. 이번 작업의 목표는 상속 계층을 구성해서 희극 서브 클래스와 비극 서브 클래스가 각자의 구체적인 계산 로직을 정의하도록 해서 해결하겠다.
호출하는 쪽에서는 다형성 버전의 공연료 계산 함수를 호출하기만 하면 되고, 희극이나 비극이냐에 따라 정확한 계산 로직을 연결하는 작업은 언어차원에서 지원받도록 한다. 적립 포인트도 비슷한 구조로 만들 것이다. 이 과정에서 몇 가지 리팩토링 기법을 사용하는데, 그 중 핵심은 조건부 로직을 다형성으로 바꾸는 것이다. 이 리팩토링 기법을 사용할려면 상속 계층부터 정의해야 한다. 즉 공연료와 적립 포인트 계산 함수를 담을 클래스가 필요하다.
공연료 계산기 만들기
여기서는 공연료를 계산하는 amountFor() 함수를 공연마다 자기가 공연료를 계산하는 PerformanceCalculator 를 만들어서 거기에 옮기는 작업부터 하곘다. (타입마다 조건마다 구현이 약간씩 다른 경우에 클래스와 상속을 이용한 코드로 리팩토링을 할 수 있구나.)
여기서는 함수를 클래스로 옮기는 함수 옮기기 기법을 사용한다.
PerformanceCalculator 클래스
public class PerformanceCalculator {
private Performance performance;
private Play play;
public PerformanceCalculator(Performance performance, Play play) {
this.performance = performance;
this.play = play;
}
public int amountFor() throws Exception {
int result;
switch (play.getType()) {
case TRAGEDY:
result = 40000;
if (performance.getAudience() > 30) {
result += 1000 * (performance.getAudience() - 30);
}
break;
case COMEDY:
result = 30000;
if (performance.getAudience() > 20) {
result += 10000 + 500 * (performance.getAudience() - 20);
}
result += 300 * performance.getAudience();
break;
default:
throw new Exception("알 수 없는 장르");
}
return result;
}
}
StatementData 클래스 의 amountFor() 메소드
public int amountFor(Performance performance) throws Exception {
return new PerformanceCalculator(performance, playFor(performance)).amountFor();
}
이렇게 수정한 다음에 컴파일-테스트-커밋 단계를 실행한다.
그 다음 적립 포인트를 계산하는 volumeCreditFor 메소드도 PerformanceCalculator 클래스로 옮긴다.
PerformanceCalculator 클래스
public class PerformanceCalculator {
private Performance performance;
private Play play;
public PerformanceCalculator(Performance performance, Play play) {
this.performance = performance;
this.play = play;
}
public int amountFor() throws Exception {
int result;
switch (play.getType()) {
case TRAGEDY:
result = 40000;
if (performance.getAudience() > 30) {
result += 1000 * (performance.getAudience() - 30);
}
break;
case COMEDY:
result = 30000;
if (performance.getAudience() > 20) {
result += 10000 + 500 * (performance.getAudience() - 20);
}
result += 300 * performance.getAudience();
break;
default:
throw new Exception("알 수 없는 장르");
}
return result;
}
public int volumeCreditFor() {
int result = 0;
result += Math.max(performance.getAudience() - 30, 0);
if (play.getType().equals(PlayType.COMEDY)) {
result += Math.floor(performance.getAudience() / 5);
}
return result;
}
}
StatementData 클래스의 volumeCreditFor 메소드
private int volumeCreditFor(Performance performance) {
return new PerformanceCalculator(performance, playFor(performance)).volumeCreditFor();
}
공연료 계산기를 다형성 버전으로 만들기
클래스에 이제 로직을 담았으니 이제 다형성을 지원하도록 해보자.
먼저 타입 코드 대신 서브클래스를 사용하도록 변경해야 한다. 이는 타입 코드를 서브 클래스로 바꾸기 기법이 사용한다.
이렇게 하려면 PerformanceCalculator 의 서브 클래스들을 준비하고 그 중에서 적합한 서브 클래스를 사용하게 만들어야 한다.
이를 위해 PlayType 에 맞게 적절한 Calculator 를 생성해주는 PerformanceCalculatorFactory 를 만들고 이를 사요하도록 했다.
PerformanceCalculatorFactory 클래스
public PerformanceCalculator createPerformanceCalculator(Performance performance, Play play) throws Exception {
switch (play.getType()) {
case TRAGEDY:
return new TragedyCalculator(performance, play);
case COMEDY:
return new ComedyCalculator(performance, play);
default:
throw new Exception("알 수 없는 타입입니다.");
}
}
TragedyCalculator and ComedyCalculator 클래스
public class ComedyCalculator extends PerformanceCalculator {
public ComedyCalculator(Performance performance, Play play) {
super(performance, play);
}
}
public class TragedyCalculator extends PerformanceCalculator {
public TragedyCalculator(Performance performance, Play play) {
super(performance, play);
}
}
StatementData 클래스
public class StatementData {
private Invoice invoice;
private Plays plays;
private PerformanceCalculatorFactory performanceCalculatorFactory;
public StatementData(Invoice invoice, Plays plays) {
this.invoice = invoice;
this.plays = plays;
this.performanceCalculatorFactory = new PerformanceCalculatorFactory();
}
public String getCustomer() {
return invoice.getCustomer();
}
public List<Performance> getPerformances() {
return invoice.getPerformances();
}
public Play playFor(Performance performance) {
return plays.get(performance);
}
public int amountFor(Performance performance) throws Exception {
return performanceCalculatorFactory.createPerformanceCalculator(performance, playFor(performance)).amountFor();
}
public int totalAmount() throws Exception {
int totalAmount = 0;
for (Performance performance : invoice.getPerformances()) {
totalAmount += amountFor(performance);
}
return totalAmount / 100;
}
public int totalVolumeCredits() throws Exception {
int volumeCredit = 0;
for (Performance performance : invoice.getPerformances()) {
volumeCredit += volumeCreditFor(performance);
}
return volumeCredit;
}
private int volumeCreditFor(Performance performance) throws Exception {
return performanceCalculatorFactory.createPerformanceCalculator(performance, playFor(performance)).volumeCreditFor();
}
}
그 다음 공연에 맞게 계산하는 로직을 TragedyCalculator 와 ComedyCalculator 로 옮기면 된다.
정의하면 다음과 같다.
TragedyCalculator 클래스
public class TragedyCalculator extends PerformanceCalculator {
public TragedyCalculator(Performance performance, Play play) {
super(performance, play);
}
@Override
public int amountFor() throws Exception {
int result = 40000;
if (performance.getAudience() > 30) {
result += 1000 * (performance.getAudience() - 30);
}
return result;
}
@Override
public int volumeCreditFor() {
int result = 0;
result += Math.max(performance.getAudience() - 30, 0);
return result;
}
}
ComedyCalculator 클래스
public class ComedyCalculator extends PerformanceCalculator {
public ComedyCalculator(Performance performance, Play play) {
super(performance, play);
}
@Override
public int amountFor() {
int result = 30000;
if (performance.getAudience() > 20) {
result += 10000 + 500 * (performance.getAudience() - 20);
}
result += 300 * performance.getAudience();
return result;
}
@Override
public int volumeCreditFor() {
int result = 0;
result += Math.max(performance.getAudience() - 30, 0);
result += Math.floor(performance.getAudience() / 5);
return result;
}
}
이렇게 나눔으로써 확장성 측면에서 좀 더 명확해졌다. 이번 예를 보면 서브 클래스를 언제 사용하면 좋을지 감이 잡힐 것이다. 여기서는 두 개의 함수 amountFor() 함수와 volumeCreditsFor() 의 조건부 로직을 각각의 서브 클래스로 옮겼다. 같은 타입의 다형성을 기반으로 실행하는 함수가 많을수록 이렇게 구성하는 쪽이 유리하다.
마치며
간단한 예였지만 리팩토링이 무엇인지 감을 잡았길 바란다.
- 함수 추출하기
- 변수 인라인하기
- 함수 옮기기
- 조건부 로직을 다형성으로 바꾸기
를 비롯한 다양한 리팩토링 기법을 선보였다.
이번 장에서는 리팩토링을 크게 세 단계로 진행했다.
- 먼저 원본 함수를 중첩 함수 여러개로 나눴다. (코드 구조를 분리한 단계로 가장 기본적인 단계의 리팩토링을 말한다.)
- 다음으로 단계 쪼개기 를 사용해서 각 기능별로 모듈화를 해서 중복을 제거했다.
- 마지막으로 계산 로직을 다형성으로 표시했다. 각 단계에서 코드 구조를 보강했고 코드가 무슨 일을 하는지 보다 더 명확해졌다.
좋은 코드를 가늠하는 확실한 방법은 '얼마나 수정하기 쉬운가' 이다. 이 책은 코드를 개선하는 방법을 다룬다. 그런데 프로그래머 사이에서 어떤 코드가 좋은 코드인가에 대한 의견은 분분하다. 내가 선호하는 적절한 이름의 작은 함수들 로 만드는 방식에 대해 반대하는 사람도 분명 있을 것이다. 미적인 관점으로 접근하면 좋고 나쁨을 넘어서 명확하지 않다. 어떠한 지침도 세울 수 없다.
하지만 '수정하기 쉬운 코드' 는 분명히 좋은 코드의 관점을 제공해준다. 코드는 명확해야 한다. 코드를 수정해야 할 상황이 오면 고쳐야 할 곳을 쉽게 찾을 수 있고 오류 없이 빠르게 수정할 수 있어야 한다. 건강한 코드 베이스는 생산성을 극대화 하고, 고객에게 필요한 기능을 더 빠르게 저렴한 비용으로 제공하도록 해준다.
이번 예시를 통해 배울 수 있는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리팩토링의 리듬이다.
사람들에게 내가 리팩토링을 하는 과정을 보여줄 때마다 각 단계를 굉장히 잘게 나누고 매번 컴파일하고 테스트하여 작동하는 상태로 유지한다는 사실에 놀란다.
나도 캔트 벡이 이렇게 작업하는 것을 처음 봤을 때 비슷한 심정이다.
리팩토링을 효과적으로 하는 핵심은, 단계를 잘게 나눠야 더 빠르게 처리할 수 있고, 코드는 절대 깨지지 않으며, 이러한 작은 단계들이 모여서 상당히 큰 변화를 이룰 수 있다는 사실을 깨닫는 것이다.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팩토링 2판] Chapter 3 코드에서 나는 악취 (2) | 2024.08.12 |
---|---|
[리팩토링 2판] Chapter 2 리팩터링 원칙 (0) | 2024.08.12 |
[기타] Mac에서 CLI로 IntelliJ 실행하는 법 (1) | 2024.02.24 |
[기타] SpringBoot 환경에서 Swagger 3.0을 적용하는 방법 (1) | 2023.12.02 |
[GIT] GIT을 통해 버젼관리를 하는 방법 - 혼자 작업하기 편 (0) | 2022.12.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