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블로그 누적 조회수가 10만을 넘었습니다. 3년째 운영해온 입장에서 꽤 상징적이었는데요, 앞으로 더 열심히 글을 적어봐야겠다는 생각이 들며 동시에 어떤 생각으로 운영해왔는지 또 앞으로 어떻게 운영할 것인지 생각을 정리해봤습니다. 저보다 이미 좋은 성과를 거두고 계시고, 더 오랫동안 블로그를 운영해오고 계신 분들은 이 글이 큰 도움이 되진 않으실 것 같습니다. 재미로 봐주시는 건 환영입니다.
기술 블로그를 운영하게 된 계기
먼저 이렇게 묻고 싶습니다. 개발자인 우리는 왜 글을 써야 할까요? 그에 대한 답을 이 영상으로 갈음하고 싶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V9AGvwPmnZU&ab_channel=EO%EC%9D%B4%EC%98%A4
저는 개발자를 시작할 때 동욱님의 영상으로 인해, 큰 영향을 받았습니다. 개발자는 학습하고 배운 것들을 차곡 차곡 쌓아올리는 사람이구나. 동욱님을 통해서, 그게 중요하다는 사실을 알게 됐죠. 그래서 이 블로그의 이름도 인생은 속도가 아니라 방향이다
라고 짓게 되었습니다. 속도만 중요시 하다보면, 방향이 틀어지더러라도 알 수 있는 방법이 없습니다. 빠른 성장을 위해 속도를 중요시 하면서도,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해 배운 내용을 정리하는 습관을 갖아야겠다는 의미에서 말이죠.
어떤 글을 써야 할까?
저는 두 가지 유형의 글을 써왔습니다. 첫번쨰는 사람들이 검색해서 찾아 볼법한 주제들을 정리해왔습니다. 예를 들면, CSS로 버튼 클릭으로 메뉴 화면 보이기/감추기
와 같은 글과 자바스크립트에서 2차원 배열을 선언하는 방법
과 같이 프로그래밍할 때 생기는 궁금증을 간단하게 해결하는 글들을 작성했습니다. 제가 처음 개발을 프론트엔드 개발을 위주로 해왔기 때문에, 첫 1년에서 1년 반은 프론트엔드 개발과 관련된 주제들이 많았네요. 해당 글들의 특성은 글 작성은 쉬운데, 블로그 조회수는 높은 효자 같은 글입니다. 다만, 기술적 깊이가 얕기 때문에 제 개인의 학습에 큰 도움은 되지 않았습니다.
두번째는 제 학습에 도움이 될 법한 주제들을 정리해왔습니다. 대표적으로 로버트 C. 마틴의 클린 아키텍처란 책을 읽고 정리하여, 생활코딩 채널에 공유해보기도 했습니다. 제가 쓴 글을 많은 사람들에게 홍보할 때의 그 기분은 제가 개발한 프로그램을 배포하고 실 사용자들에게 피드백을 받길 기다리는 설렘이 있었네요. 첫번째 유형보다 글 작성에 든 시간은 2-3배 정도였지만, 글을 쓰고 난 뒤 개발할 때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 어떻게 운영할 것인가
또 글또 9기에 참여하게 됐습니다. 이 경험이 앞으로 저와 이 블로그를 성장시키고 가꾸는데, 벌써 큰 도움이 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앞으로 5개월 간, 블로그 글을 작성하는 것에 집중해보려고 합니다. 최근에는 주로 블로그에 Java, Spring, MySQL과 관련된 자료들을 정리하고 있는데, 앞으로 5개월 간은 특히 MSA에서의 Devops 관련된 토픽들(서킷 브레이커 등), 분산환경에서의 데이터베이스 처리, Spring Webflux, 코틀린 등의 주제에 관해서 관심이 많아, 새롭게 다뤄볼 계획 중입니다.
개발자로서 그려보는 5개월 뒤 나의 모습
앞으로 5개월 간 블로그 글쓰기에 집중하면서, 동시에 아래 항목들에 집중하여 개발자로서의 성장에 집중해보려고 합니다.
- 백준 알고리즘 300 문제 풀이를 달성한다.
- 가장 먼저, 제가 이직이나 새로운 도전하는 데 발목을 잡았던 알고리즘 문제들을 더 많이 풀어보려고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링크에 정리해봤습니다. 300문제 정도 풀고, 알고리즘 후기를 올려보겠습니다.
- MSA 환경에 필요한 기술적 요구사항들을 정확하게 알고 구현할 수 있다.
- 더 나은 백엔드 개발자로 성장하려면 분산 환경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 중에서도 MSA는 도메인 관점에서 분산환경을 구축하는 효과적인 방법이라 생각이 들었습니다. 특히 MSA와 관련된 글들을 블로그에 쭉 작성할 예정입니다.
- Amazon SAA 자격증을 취득하며,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기술적 고려사항들에 관해 자세히 안다.
- 분산 환경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클라우드에 대한 이해와 활용은 백엔드 개발자로서 필수적이라 생각합니다. 그런 의미에서 SAA 자격증 공부를 하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서도 합격 이후 공부 방법과 취득 후기를 작성해볼 생각입니다.
- 시리즈 B 이상의 백엔드 개발자로 이직한다.
- 기술적 요구사항이 복잡해지기 시작하는 건, 글로벌 서비스가 될 때부터라고 생각합니다. 이와 관련해서, 제가 가진 생각은 개발자로서의 성장을 위해선 기술적 깊이를 요구하는 회사에서 일해야 한다입니다. 그래서 계속 도전해볼 생각입니다.
- 유튜브 무료 강좌를 찍는다. 스프링과 JPA를 활용한 프로그래밍 강의를 찍고 완성하자 🙌
- 블로그 말고, 영상으로 강의를 찍어보겠단 생각이 있습니다. 간단하게 웹 어플리케이션을 Spring과 JPA를 통해서 만들어보고, Amazon에 배포해보는 무료강의를 찍어볼 생각입니다. 유튜브 구독자 100명만 달성해도 행복할 것 같네요ㅎㅎ
'생각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프트웨어분야 전문성을 키우기 위한 노력들 (0) | 2022.04.22 |
---|
댓글